* 여명의 눈동자 (MBC, 1991) - 채시라, 최재성, 박상원

:: A must-see epic drama. 그당시로서는 엄청난 스케일의 제작과정과 채시라, 최재성, 박상원의 열연, 송지나의 극본, 김종학 감독의 연출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방대한 대작이다. 11살때 처음 이 드라마를 보기시작했는데 생각나는건, 캐릭터들을 통해 표현된 그래픽한 일제시대의 비극들과 한국전쟁의 아픔들이었다. 난 여기서 박상원을 너무 좋아해서 이때부터 팬이 되었다. 그의 채시라를 향한 가슴아픈 짝사랑이 왜이리 마음 아팠는지. 결국 그가 북한 북파공작원이 되어서 북한에 침투되고.. 다시 탈출하여 나오려다가 같이 동행했던 정성모가 결국 강을 건너다가 죽고.. 또 해방이 되어서 자기를 고문하던 친일파 스즈끼(박근형)가 경찰청장이 되어있는것을 본 하림(박상원)이 분노의 멱살을 날리던 장면.. 인민군이 숙청을 거행하며 동네의 유지들과 지식층들을 죽이려고 하림을 죽이려 했을때 아직 숨이 붙어있어서 몰래 집으로 데리고 와 고현정이 간호하던 모습.. 마지막에 인민군 장교 최재성을 찾으려 약을 싸들고 눈 덮인 산을 올라갔다가 총탄에 잘못맞은 채시라.. 그녀를 안고 울부짖던 최재성.. 그리고 그 두사람을 지리산 어딘가에 묻어야 했던 박상원.. 아직까지도 기억에 남는다. 내 생에 최고의 드라마.


* 우리들의 천국 (MBC, 1992) - 홍학표, 김찬우, 장동건, 최진영, 전도연

:: 홍학표로 시작된 1기에서 김찬우, 장동건 2기로 이어진 청춘 드라마. 난 김찬우를 좋아했고 그때당시 신인이었던 장동건은 연기력 부족으로 살짝 느끼했다. 김찬우는 양정아를 좋아했고 최진영은 전도연을 좋아했고.. 뭐 그랬던거 같다. 사운드 트랙이 좋아서 앨범을 세 개 다 샀었다. 그 중 두번째는 장동건이 불렀었지.. 이때 장동건 되게 풋풋했는데.. 


* 내일은 사랑 (KBS, 1992) - 이병헌, 박소현

:: 우리들의 천국 라이벌 드라마였지. 우리들의 천국은 MBC 였고 내일은 사랑은 KBS 였다. (이때만해도 SBS 는 없었음) 이병헌 박소현 커플이 인기가 있었고 나름 고소영도 나왔다고 하는데 기억은 가물가물... 


* 질투 (MBC, 1992) - 최진실, 최수종

:: 고 최진실씨를 대략 스타로 만들어준 드라마. 맨 마지막 장면 카메라가 빙빙 돌면서 주제곡 나오고 최진실과 최수종이 키스로 끝나던 장면이 생각난다. "넌 대체 ~ 누굴 보고 있는거야~"


* 걸어서 하늘까지 (MBC, 1993) - 최민수, 김혜선, 손지창

:: 지금은 많이 잊혀졌는데 당시엔 꽤 인기가 있었다. 최민수가 깡패인가 소매치긴가로 나왔고 김혜선은 그를 좋아하던 여인.. 그리고 그런 김혜선을 뒤에서 바라보고 도와주기만 하던 부잣집 도련님 스타일 손지창. 이것도 마지막에 눈 덮인 산에서 최민수가 경찰에 쫒기면서 도망가다가 결국 총탄 하나로 생을 끝내던 장면이 기억에 남는다. 장현철이 불렀던 주제곡 "걸어서 하늘까지"를 학교에서 친구들과 따라부르던 기억이 난다. 노란색 피아노 악보도 공짜로 받았던거 같은데.


* 파일럿 (MBC, 1993) - 채시라, 최수종, 한석규, 이재룡

:: 비행기를 주제로 한 드라마. 지금은 아마 볼 수 없을듯한 화려한 캐스트다. 채시라와 최수종이 폭죽 가지고 놀던 장면이 기억난다. 윤상이 작곡한 주제곡을 너무 좋아했었지. 그 레어한 씨디를 몇년전 우연히 씨디가게에서 발견해서 샀었다. 노영심, 손무현이 참여하고 업타운의 리더 정연준이 노래를 불렀었다. 완전 파릇한 최수종, 한석규, 이재룡의 사진들과 성형전 아름다웠던 채시라의 얼굴을 볼 수 있다. 드라마의 내용은 그다지 기억나지 않네.. 


* 마지막 승부 (MBC, 1994) - 장동건, 손지창, 심은하

:: 장동건을 너무나 미치도록 좋아하게 만들었던 드라마. 농구를 주제로 한 드라마였는데 아마도 슬램덩크가 inspire 하지 않았을까 한다. 심은하 이때 최고로 인기 있었는데 심은하 귀가 못생겼다고 맨날 가리고 나온다고 해서 유심히 심은하의 귀를 보려고 노력했었던거 같다. 드라마 후반부에 장동건이 짧은 스파이키 머리 하고 나왔을때 숨이 멎었던 기억이 난다. 책상 옆에 장동건 포스터, 펜 담는 통에는 장동건 스티커로 도배를 했던 중학교 시절이 생각나네. 꿈에서라도 장동건을 보려던 노력도 했었지. 이 때부터 유학생활이 시작됬기에 비디오로 친척들과 둘러앉아 시청하기가 시작되었다. 


* 사랑을 그대 품안에 (MBC, 1994) - 차인표, 신애라, 이승연

:: 차인표를 대박 수준으로 올려놓았던 드라마. 여기서 신애라와 눈이 맞아 결혼했었지. 이승연은 부잣집 남자의 아내로 나왔는데 난 오히려 그 부잣집 성격 못된 아저씨를 더 좋아했었다. 아마도 난 배드보이를 좋아하나봐? 그 아저씨 이름이 뭐였더라.. 하여튼 느끼함으로 온국민을 사로잡았던 차인표의 데뷔작.


* 모래시계 (SBS, 1995) - 최민수, 고현정, 이정재, 박상원

:: 여명의 눈동자의 김종학, 송지나 콤비가 다시 만나 만든 대작. 이번엔 고현정이 여주연을 맡았었지. 70~80년대 한국의 사회를 적나라하게 파헤쳤다고 할까. 당시 시청했을때는 너무 어리고 한국의 역사도 잘 몰랐기에 뭐가 뭔지 몰랐지만, 최민수가 삼청교육대를 가고 광주사태에 말려들고 이런 부분들이 후에 아~ 이렇게 이해가 된거 같다. 디비디를 사서 다시 봐야겠다. 마지막에 이정재가 고현정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때 아마 전국의 소녀들 다 울었을거다. 그당시 한국에 있던 친구와 주고받았던 편지에 이정재 죽을때 반 애들이 다 울었다는 얘기를 쓴걸 읽은 기억이 난다. 그리고 태수(최민수)의 마지막 대사, "나, 떨고있니" 가 유행했었지. 여기서 박상원은 여전히 다른 사람을 바라만 보다가 딴 여자랑 결혼을 하는 역할을 맡았던거 같다. 고현정 좋아하다가 고현정이 최민수 좋아하니까 결국 조민수랑 결혼을 했었지. 하여튼. 안타깝네.


* 모델 (SBS, 1995) - 장동건, 한재석, 김남주

:: 미치도록 좋아한 장동건이 나오길래 봤는데 그런 장동건을 무참히 차버리고 난 한재석을 미친듯이 좋아하기 시작했다. 내용은 좀 별로고 연기력도 별로였는데 한재석 하나만 보고 광적으로 좋아한 드라마. 심지어 한재석이 나왔던 어떤 홍콩 영화까지 봤었다. 다 중국어로 찍어져서 말 한두마디 더빙으로 나오고 나중에 죽는 역할이었는데 그런것도 몇번이고 돌려본 기억이 나네. 내 친구 엄마는 장동건 삼촌으로 나오던 올빽머리 이정씨를 좋아했던거 같다. 그 분은 이제 연기 안하시나.. 느끼하면서 멋있었는데. 김남주가 이때부터 뜨기시작했던거 같다. 김남주 동생분으로 소지섭이 나왔다던데 기억 안남. 


* 갈채 (KBS, 1995) - 최용준, 황인정, 장동직

:: 기억에 가물가물한데.. 한 가수와 그를 사랑한 여대생의 스토리다.. "갈채"라는 주제곡을 불렀던 최용준이 남자 주인공인 인기가수였고.. 장동직과 삼각관계를 이루며 황인정이란 신인이 여주인공을 맡았었는데, 황인정은 약간 최진실 삘나는 이미지였었다. 그래서 욕 많이 먹었다는... 기억나는 장면은 장동직과 최용준이 수영 대결을 하는데 실제로 모델활동한 장동직은 몸짱이었는데 거기에 비교한 최용준의 굴욕수준이었다. 왜 했을까.. ㅋㅋㅋ 이렇게 적고 나니 꽃남에서 나온 수영 대결이 생각 나네.. 준표와 지후가 잔디를 두고 수영시합을 했달까.. 내용은 거의 생각나지 않고 주제곡만 되게 좋아했던 기억만 난다. 이 이후 황인정은 그닥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다. 


* 별은 내 가슴에 (MBC, 1997) - 안재욱, 최진실, 차인표, 전도연

:: 이 당시 신인이었던 안재욱을 스타로 만들어준 드라마. 안재욱 머리가 유행해서 모두가 안재욱 머리를 했었다는... 여기에 차인표나 전도연은 생각나지 않는다. 대체 어떤 역할이었을까. 이것도 안재욱이 주제곡을 불러서 인기있었다는... 


* 햇빛 속으로 (MBC, 1999) - 차태현, 김하늘, 장혁

:: 차태현이 부잣집 잘난척 도련님이었고 장혁은 좀 배경이 어두운 캐릭터였고.. 김하늘은 하늘하늘한 청순가련형이었던거 같다. 역시나 이 세사람이서 삼각관계였고 그다지 기억나는건 잘난척하며 좀 밥맛없었던 캐릭터였던 차태현이 좀 멋지고 귀엽게 나왔다는거? 역시 드라마는 캐릭터를 잘 만나야...


* 가을동화 (KBS, 2000) - 송승헌, 송혜교, 원빈

:: 달리 말이 필요있을까. 대학시절 룸메들과 둘러앉아 매주 울었던 드라마. 특히 혜교 어머니 김해숙씨의 연기 덕분에 볼때마다 펑펑 울었다. 근데 갈수록 이상해진 전개에 @.@?? 이렇게 됬고 결국 스토리는 산으로 가서 은서는 죽고 원빈이만 불쌍하고 승헌이는 자살을 했다는... 이상한 드라마. 


* 이브의 모든것 (MBC, 2000) - 장동건, 채림, 김소연, 한재석

:: 말이 아나운서들의 관한 드라마였는데 김소연만 잘하고 채림은 아나운서 연기 진짜 못해서 완전 욕 얻어먹던 드라마다. 장동건, 한재석 콤비가 좋았고 역시 장동건이 멋있게 나오고 한재석은 바보같은 해바라기식의 역할이었던거 같다. 첨엔 재미있다가 결국 마지막에 가서 이상하게 끝난거 같은 잘 기억나지도 않는 드라마. 김소연이 악역이었는데 연기 좀 잘해서 많이 욕먹었다. 주제곡을 핑클이 불렀는데 다행히 옥주현이 코러스를 불러서 그나마 주제곡을 살린듯. 성유리는 도대체 어떻게 가수가 됬을까 생각케 하는 주제곡이었다. 


* 신 귀공자 (MBC, 2000) - 최지우, 김승우

:: 유치한 신데렐라 스토리를 바꿔서 만들어본 드라마. 김승우의 매력과 최지우의 바보스런 매력에 그나마 즐겁게 봤던 드라마다. 최지우가 처음 먹어본다며 부대찌개를 먹어보던 장면이 기억에 스쳐간다. 


* 호텔리어 (MBC, 2001) - 김승우, 배용준, 송윤아, 송혜교

:: 김승우의 매력에 빠졌던 드라마. 난 그토록 송윤아랑 이어지길 바랬지만 결국 윤아씨는 잘생기고 키크고 돈많은 배용준을 선택했다. 이 드라마가 끝난 2001년 여름에 난 호텔에서 알바를 하겠다고 알아보곤 했다. 다행히 날 고용한 호텔은 아무데도 없었다. 배용준 완전 밥맛이었는데. 도대체 뭐가 멋졌단 걸까. 송혜교는.. 약간 존재감 없다가.. 나중에 김승우랑 여운이 남는 역할로 매듭되었던거 같다. 왠지 안어울리는데 말이지.. 삼촌과 조카 같지 않나? 김승우랑 송혜교? 


* 네 멋대로 해라 (MBC, 2002) - 양동근, 이나영, 이동건, 공효진

:: 특이한 전개와 대사들로 볼때마다 배꼽 빠졌던 드라마. 마지막에 양동근이 죽을 병에 걸려서 아파할때 이를 악물고 참는 장면이 너무 가슴아파서 막 눈물 흘리며 울었던 기억이 난다. 양동근이 이렇게 연기 잘하는거 몰랐어... 공효진도 그렇고.. 이나영도 매력있었다. 


* 위기의 남자 (MBC, 2002) - 황신혜, 신성우, 배종옥, 김영철

:: 황신혜랑 김영철이랑 부부였는데 김영철이 자기의 첫사랑 배종옥이랑 바람이 나고 그런 황신혜를 유부남 신성우가 좋아한다는 설정이었다. 신성우의 아내는 변정수였고 되게 감초 역할을 잘 했었다. 이당시 신성우가 이빨 교정을 하느라 발음이 웅웅댄다는 지적이 많았고 나이 40인데 너무 아름다웠던 황신혜는 질투심을 불어일으켰다. 난 뒤늦게 신성우의 매력에 빠져서 신성우의 앨범을 사다들이고 사진을 도배하고 그런 시절을 보냈다. JK 김동욱이 부른 "위기의 남자" OST 까지 사고 매주 빌려온 비디오를 카피하고 그랬다. 신성우가 채시라랑 결혼하지 않은데에 감사하며 지금도 신성우씨.. 좋은 사람과 결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다모 (MBC, 2003) - 이서진, 하지원, 김민준

:: "다모폐인" 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던 트렌디 사극. 나 역시 다모 폐인이었다는.. 이서진이란 신인을 스타로 올려놓은 드라마. 하지원의 "나으리.." 라는 대사와 이서진의 "너도 아프냐.. 나도 아프다.." 라는 대사가 히트했었지.. 하지원 그다지 좋아하진 않았지만 연기를 꽤 잘해서 좋아졌었다. 마지막의 반전이 참 가슴아팠던 기억이 난다. 난 이당시 대학교 5학년이었는데 중국, 베트남 룸메이트랑 마지막 에피소드를 보다가 "안돼~~~~~!!!" 소리를 지르고 발을 동동 구르고 너무 슬퍼서 막 울었던 기억이 난다. 그때 내 룸메들이 어머~ 하며 어떻게 된거냐고 궁금해 했었다. 한동안 김범수의 애절한 오에스티를 들으며 마음을 달래기도 했었다. 지금 생각해봐도 꽤 잘만들었던 드라마. 


* 위풍당당 그녀 (MBC, 2003) - 배두나, 신성우

:: 신성우때문에 보기 시작한거 같은데 배두나의 엉뚱함과 귀여움이 잘 맞아떨어진 드라마. 내용은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배두나나 신성우가 무슨 역할이었는지 당췌 기억이 안남. 근데 당시엔 잼있게 본거 같다. 꽃남의 금잔디 역할도 배두나가 했으면 어땠을까? 배두나는 제목 그대로 위풍당당한 그녀의 역할에 잘 맞았던거 같다. 


* 천국의 계단 (SBS, 2004) - 최지우, 권상우, 신현준, 김태희

:: 지금 생각하면 정말 가을동화에 이어지는 막장 드라마다. 출생의 비밀, 악녀, 재벌가문의 외아들, 불치병 모든게 들어가 있는 드라마. 그럼에도 매주 꼬박 시청하며 짜증을 냈던 드라마다. 권상우가 재벌가의 아들이었고 최지우랑 어렸을때 좋아했던 사이였다. 최지우의 스텝 브라더였던 신현준은 최지우를 짝사랑했고 신현준의 동생인 김태희는 권상우를 좋아해서 최지우를 구박했고.. 김태희의 엄마였던 이휘향도 완전 못된 새엄마로 최지우를 구박했었지.. 하여튼 이상한 가족사에 얽힌 신데렐라 스토리다. 주제곡인 아베 마리아가 나올때면 최지우는 어딘가로 도망을 치고 있었고 특히 웨딩 드레스를 입고 도망치던 장면이 생각난다. 그래도 권상우가 역시 재벌가의 후계자라서 멋있게 나왔다. 최지우와 권상우 둘 다 혀가 짧아서 되게 웃겼던 기억이 난다. 권상우 캐릭터 이름이 송주였는데 최지우가 "동주 오빠" 이렇게 불렀었다. 신현준은 약간 그런지 보헤미안 식으로 옷입고 나와서 홈레스 삘이 났었다. 이 드라마에서 캡쳐당한 사진이 김태희의 "굴욕" 사진으로 떠돌아 다닌적도 있었지. 최지우랑 계단에 서있는데 김태희는 한칸 더 위에 서있는데 키가 똑같아서.. ㅎㅎ 어쨌든 완전 막장의 길을 걸어서 마지막에 최지우가 눈을 멀던가.. 그러다가 신현준이 눈을 주던가.. 뭐 하여튼 이런 내용이었던거 같다. 지금 주제곡 아베마리아의 드럼소리가 귀에 환청을 때린다... 


* 불새 (MBC, 2004) - 이서진, 이은주, 문정혁, 정혜영

:: 이은주 불후의 명작, 그리고 신화의 에릭이 출연한 드라마. 에릭이 드라마 초반엔 진짜 멋있는 재벌 남자로 나와서 이은주를 사랑하는 캐릭터였는데 이 드라마도 막장의 길을 걸으면서 에릭이 완전 바보같은 캐릭터로 변해버렸다. 나중에 이서진을 띄워주는데만 한 몫을 한.. 이서진이 가난한 남자였고 이은주가 돈많은 집 딸이었는데 이은주네 부모가 결혼에 반대하고 아버지가 갑자기 돌아가셔서 집안이 기울어지는 바람에 결국 헤어지고.. 이서진은 유학을 가버리고 이은주는 생계를 책임져야 해서 식모인가 그걸로 일을 했는데 유학갔다 성공해서 돌아온 이서진네 집으로 이은주가 식모로 들어가고.. 이서진이랑 약혼했던 정혜영은 이은주랑 친구였나.. 하여튼 그랬다. 이은주랑 이서진의 관계를 알아챈 정혜영이 (아, 정혜영은 다리를 못쓰는 휠체어 탄 신세였다) 후반부에 싸이코처럼 돌변해서 클레오파트라 머리를 하고 깨어진 유리 위로 걷고 뭐 하여튼 끝에는 완전 막장드라마로 변해버렸었다. 그래도 에릭은 이은주를 좋아하고 뭐 하여튼 지금 정리해보면 돈 많은 남자 둘이 식모를 사랑하는 그런 스토리였다. 제목 불새는 이은주랑 이서진이 좋아했던 그림 이름이고.. 이승철이 부른 주제곡이 진짜 좋았다. 역시 이승철.. 노래 진짜 잘해.. 마지막에 결국 팬들이 원하던 대로 이서진과 이은주가 다시 이어지고 정혜영은 정신병자되고...? 걸리적 거리던 에릭은 미국으로 떠나는.. 뻔해버린 스토리로 끝이 났다. 이은주.. 되게 이쁘고 연기도 잘하고 그랬는데.. 이 드라마 이후에 얼마 안가 자살을 선택했다. 참 안됬다.. 지금도 내 엠피쓰리에 이 뮤직비디오 가지고 있는데.. 마음이 아프네.


* 풀 하우스 (KBS, 2004) - 정지훈, 송혜교, 김성수, 한은정

:: 만화책의 팬이던 내가 정말 기대하던 작품인데 지금 생각해보면 어떻게 원작가인 원수연이 이 드라마를 허락했는지 알수가 없다. 만화책과 같은 점이라면 단 하나, 풀 하우스란 집에 비랑 혜교가 같이 살게된것 뿐. 나머지는 만화책과 같은 점이 하.나.도. 없다. 정말이지 제목만 같을 뿐 완.전. 다른 스토리다. 만화책의 라이더는 영국의 백작가문 아들이고 이런데 여기서 나오는 "영재" (이름도 촌스러) 는 가수인가.. 그렇고. 김성수랑 한은정은 뭐 당연히 비, 혜교 이 두사람의 사이를 훼방하는 들러리들이고.. 뭐 뻔한 사각관계.. 그러다 결국 비랑 혜교랑 이어지고.. 작곡가 이경섭이 불렀던 풀하우스 주제곡만 좋았다. 풀하우스 만화가 너무 아깝다. 명작인 만화가 이딴식으로 만들어 지다니. 풀 하우스 시즌 2로 다니엘 헤니가 라이더로 나오고, 엘리 지 역할로는 좀 키크고 지적인 여배우가 나왔으면 하는데. 만화에서 엘리지는 당차고 키크고 늘씬하고 지적인 캐릭인데 송혜교는 짧고 귀여운 이미지잖아! 정말 안어울려.. 풀하우스 다시 만들어줘~!! 내가 원수연이라면 정말.. 자다 벌떡 깰거같애.


* 내 이름은 김삼순 (MBC, 2005) - 김선아, 현빈, 정려원, 다니엘 헤니

:: 일년만에 다시 드라마를 보게한 명작. 김선아의 통통하지만 당차고 활발한 캐릭터가 매력이었다. 그리고 여기서 만들어진 빵들이 갑자기 파뛰셀이란 직업을 인기있게 만들었고.. 빵집들에게 활기를 불어넣지 않았을까 한다. 빵집 사장이었던 현빈이 퐉 인기를 얻었고 가수 샤크라의 정려원은 쟤가 저렇게 이뻤나? 하는 생각을 불어일으키게 했고.. 다니엘 헤니는 정말 월드스타가 되었다. 얼바인에는 심지어 삼순이 빵집도 생겼었지.. 약간 뻔한 재벌2세+가난하지만 당차고 활발한 여자 이야기. 그러나 여느 드라마보단 코믹하고 흥미롭다고 할까.


* 환상의 커플 (MBC, 2006) - 한예슬, 오지호

:: 삼순이 이후 일년만에 다시 비디오를 보게 한 드라마. 한예슬의 매력에 푹 빠져서 헤어 나올 수 없었다. 재벌 아줌마가 기억상실증에 걸리면서 서민 청년과 같이 살게되고 덕분에 서민 음식 (짜장면, 만두 등등) 을 먹게되고 서민들과 어울리며 지내게 되면서 겪는 해프닝이로 드라마가 전개된다. 비록 80년대 미국영화의 리메이크이지만 참신하고 한예슬의 몸던지는 연기가 인상깊었다. 한예슬에게 꼼짝 못하던 빌리 역할의 김성택의 연기도 웃겼고.. 오지호와 점점 사랑에 빠지던 아나조도 너무 웃겼다. 추천할 만한 드라마. 


* 꽃보다 남자 (KBS, 2009) - 이민호, 구혜선, 김현중, 김범, 김준

:: 거진 2년만에 공백을 깨고 다시 한국 드라마를 보게 한 드라마. 구혜선의 묘한 매력과 이민호, 김현중의 비쥬얼이 받쳐주는 드라마다. 약간 뒷북으로 비디오 3개를 하루에 다 보게 됬는데 결국 하루에 6시간씩 보고 만화책 다 다운받고 일드까지 보고싶게 한 드라마다. 나름 원작과 거의 비슷하게 간다는 느낌이고 한국식으로 캐릭터들을 다 잘 만든것 같다. 금잔디의 캐릭터때문에 욕을 많이 먹는데 내 생각은 구혜선이 연기하는 소리지르고 어거지 부리는 금잔디는 만화책의 츠쿠시랑 대략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만화책에서 츠쿠시도 소리지르고 어거지 부리고 부끄러서 말 못하고 그러거든.. 뭐 약간 구혜선의 입 연기가 맘에 안들긴 하지만.. 분위기가 괜찮은거 같은데.. 열심히 하는거 같고.. 첨엔 이민호가 너무 잘생기고 그래서 그가 눈물 흘릴때마다 거의 가슴이 찢어지는 거 같았지만 (이 누나 너무 맘아프게 하지 마라) 요새는 고아인 현중이가 더 불쌍한거 같애.. ㅋㅋㅋ 뭐 꽃남 얘기는 꽃남 끝나면 더 쓰던가 해야지.. 요새 주제곡 오공일들이 부른 "내 머리는 너무나 나빠서" 이거 무한반복중이다. 


* 응답하라 1997 (tvN, 2012) - 서인국, 정은지, 은지원, 성동일, etc.

:: 3년만에 다시 드라마 한편을 보게했던 응답하라. 이후엔 1994, 1988까지 나온 화제작이지만 난 1997만 봤다.  기존 드라마와는 차원이 다른 꽉찬 대사들과 스토리라인, 캐릭터 development 은 정말 찬사를 받아 마땅하다.  게다가 정은지와 서인국의 어색하지 않은 사투리 연기와 나머지 조연들의 주연스러운 연기가 꽃을 피웠다.  정말 폐인을 만들정도로 나도 빠졌던 응칠.  정말 10년전 대학시절을 떠올리게 하며 향수에 젖어들었던 한 시즌을 보낸듯 하다.  에쵸티 춤을 따라하던 시절들과 젝키해체로 기숙사방에서 유니스와 울었던 시간들.. 한국에서 학교다닐대 유행했던 게스청바지와 짝퉁들하며.. 응칠이 한국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건 사실이다.  이 드라마 이후로 복고유행을 타며 10, 15년전 왕성하게 활동하던 가수들이 다시 무대위로 등장했으니... 걸작이다.  



* 무림학교 (KBS, 2016) - 이현우, 홍빈, 서예지, 정유진, 신현준, 신성우, 이범수, 황인영

:: 사실 신성우가 나온다길래 챙겨보고있다.  이건 아직 끝나진 않았지만 아마도 신성우땜에 몽땅 챙겨볼거 같기에 미리 리뷰 써본다.  너무 오랜만에 드라마 챙겨보는거라서 처음엔 참신했고 다들 발연기다 뭐다 욕을 해도 난 재밌게 봤다.  적어도 처음 4편까지는... 뭔가 그전에 엄청 유행한 드라마의 모든 컨셉을 짜집기한거같은 유치함이 있지만- 뭔가 꽃보다 남자스러운 네명의 주연들과 이들의 아버지들이 신현준과 신성우라니..... 이 설정이 나에겐 너무 새롭다..아.. 우리 나이가 진정 이렇게 된건가!! 난 아직도 천국의 계단에서 최지우를 향해 찌질하게 울던 신현준을 기억하는데!!  그땐 이런 배우들이 주인공들이었는데.. 이젠 주인공의 아버지로 나오다니!! 게다가 장가도 안간 신성우마저... ㅋㅋㅋㅋ 암튼 이런저런 것들이 그래도 난 안타까움보다는 그냥 흥미롭다!  솔직히 드라마 자체는 그냥.. 뭔가 해리포터스러운 학교세팅에 꽃보다남자스러운 남녀주인공들에... 어설픈 한국말하는 외국인 조연들과.. 이들은 거의 카메오수준이고... 더 놀라운건 베이비복스 간미연이 선생중에 하나라니~~~~ 어디서 많이 본 자맨데.. 하면서 예전 클레오로 활동하던 자매인가.. 가만히 봤더니 오마걋 간미연이자나.... 와우.. 정말 .. 문희준과의 루머로 온갖 팬들에게 미움받던 간미연이... 우하하하하하 이젠 선생님역할이라니... 간미연 예전엔 정말 엄청났는데말야... 베이비복스는 내가 그래도 좋아하던 여자댄스그룹중 하나였는데... 춤도 엄청잘추고 노래들도 괜찮아서... 아, 그리고 황인영씨... 홍빈인가 하는 청년 엄마로 나온다.. 으크크크크크 뭔가 이모로 나올법도 한데 엄마라니... 아 세월이여.. ㅋㅋㅋ 뭐 again, 스토리 보다는 나오는 배우들땜에 챙겨보는 드라마.  그제께 몰아서 1-3편보고 어제 4-8편 챙겨봤는데 1-3편에서 정말 신성우는 통틀어 1분 나왔던가. 오맨.. 글고 4-8편에는 아마 다합쳐서 5분도 안되는거같다.  젠장. 18년동안 코마에 빠져있었다니. 이런설정이면 말다했지 뭐. 미국 솦오프라를 능가한다. 푸하하하하하  7-8편에 주인공들의 러브라인은 나도 더이상 못견디겠어서 넘기면서봤다. 신성우 언제나오나. -.,-  러브라인은 딱 예전에 지후선배와 금잔디 그리고 이민호(캐릭터이름 뭐드라 아, 구준표) 딱 그거같다. ㅋㅋㅋㅋ 그래.. 2009년엔 통했을법한 것들이... 이젠 안되나부다.. 20부작에서 16부작으로 줄였다하네. 미시아줌마들도 엄청 유치하고 잼없다고 욕하던데... 그래도 난 꿋꿋이... 서포트.. ㅋㅋ 운동하면서 4편인가 봤는데 몰입도 짱. 얼릉 신성우님의 분량이 많아지길 기대하며... 







'The Ordinar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it to the Broad Museum  (1) 2016.06.18
이지훈 - Goodbye Love  (2) 2016.04.02
List of UCI Dramas I've Attended  (0) 2016.02.05
그댄 행복에 살텐데 - 리즈 (Leeds)  (0) 2016.01.08
주 계신 곳에 부르시네  (0) 2015.12.03
:

April 2001

- The Pirates of Penzance by Gilbert & Sullivan

- Directed by Keith Fowler

- Starring Benjamin Johns, PJ Wagner

- Irvine Barclay Theatre, $6

 

April 2002

- The Good Person of Szechuan by Bertolt Brecht

- Directed by Robert Cohen

- Starring Donnetta Grays, Noel Iribe

- Irvine Barclay Theatre, $7

 

April 2003

- Lady Windermere’s Fan by Oscar Wilde

- Directed by J. R. Sullivan

- Christopher Sousa-Wynn, Scenic Design

- Starring

o Sarah Parry (Lady Windermere)

o Michael Morgan (Lord Windermere)

o Mandy Schmieder (Duchess of Berwick)

o Ailene King (Mrs. Erlynne)

o Andrew Samonsky (Lord Darlington)

o Jessica May Stevenson (Lady Agatha Carlisle)

o Will Shanklin (Mr. Dumby)

o Windell D. Middlebrooks (Lord Augustus Lorton)

o Shannon Jarrell (Lady Jedburgh)

- Claire Trevor Theatre, $9

 

April 2006

- Kiss Me, Kate by Cole Porter

- Directed by Robert Cohen

- Starring Jason Vande Brake, Caitlin McGinty, Evans Jarnefeldt

- Claire Trevor Theatre, $9

 

November 2006

- La Celestina by Fernando de Rojas

- Directed by Keith Fowler

- Starring Jeffrey Parker, Nylda Mark, Evans Jarnefeldt

- Claire Trevor Theatre, $9

 

June 2007

- Urinetown by Greg Kotis & Mark Hollman

- Directed by Myrona Delaney

- Starring David Winters, Kaylen Danz, Tony McConville, Laura D’Andre

- Piano by Max Haymer

- Claire Trevor Theatre, $9

 

November 2007

- Anything Goes by Cole Porter

- Directed by Don Hill

- Starring Julia Goretsky, Jeffrey Parker, Michael Doonan, Nylda Mark, Nathan C. Crocker, Deidre Haren, Tony McConville

- Irvine Barclay Theatre, $12

 

January 2008

- Dark of the Moon by William Berney & Howard Richardson

- Directed by Annie Loui

- Starring Benny Wills, Stephanie Philo, Jeffrey Parker, Nylda Mark, Daryn Mack, Michael Doonan

- Claire Trevor Theatre, $9

 

April 2008

- Uncle Vanya by Anton Chekhov

- Directed by Keith Fowler

- Starring Evans Jarnefeldt, Daryn Mack, Karin Hendricks, Ethan Sawyer

- Winifred Smith Hall, $9

 

January 2009

- Twelfth Night by William Shakespeare

- Directed by Beth Gardiner

- Starring Jennice Butler, Benny Wills, Tony McConville, Garrett Deagon, Andreas de Rond

- Winifred Smith Hall, $11

 

March 2011

- Mary Stuart by Friedrich Schiller

- Directed by Rob Salas

- Starring

 o Mary - Erika Haaland

 o Elizabeth  - Tracy Hazas

 o Mortimer  - Chris Klopatek

 o Leicester  - Lucas Calhoun

 o Burleigh  - Nich Kauffman

 o Kennedy -  Madeleine Barker

 o Paulet  - Sean Harrigan

 o Talbot  - Ryan Imhoff

 o Davison / Bellievre  - Derrick Gaffney

 o Aubespine / Melvil  - Touheed Yousef

 o Drury / O'Kelly  - Walter Rodriguez

- Studio Theater, $9

 

February 2012

- Merchant of Venice by William Shakespeare

- Directed by Eli Simon

- Starring

 o Shylock  Richard Brestoff

 o Antonio Greg Beam

 o Bassanio DeShawn Mitchell

 o Graciano Sean Harrigan

 o Lancelot Gobbo Craig Fox

 o Lorenzo Lucas Calhoun

 o Prince of Morocco Anthony Simone

 o Prince of Arragon Chris Klopatek

 o Portia Leah Dutchin

 o Nerissa Abbey Smith

 o Jessica Anika Solveig

- Claire Trevor Theatre, $16 

 

March 2012

- Arcadia by Tom Stoppard

- Directed by Adrian Balbontin

- Starring

 o Septimus - Ben Jacoby

 o Bernard - Chris Klopatek

 o Valentine - Greg Beam

 o Hannah - Sonya Cooke

 o Chater - Lucas Calhoun

 o Chloe - Bri McWhorter

 o Thomasina - Deborah Lagin

 o Captain Brice - Matthew Koenig

 o Lady Croom - Kim McKean

 o Noakes - Kyle Johnston

 o Jellaby - Morgan Hollingsworth

- Winifred Smith Hall, $11

 

 

June 2012

- Dames at Sea by George Haimsohn

- Directed by Jane Page

- Music Directed by Daniel Gary Busby

- Starring

 o Ruby - Hannah Balagot

 o Dick - Jake Saenz

 o Joan - Jenna Gillespie

 o Hennesey - Grant Markin

 o Mona Kent - Lindsey Iversen

 o Lucky - Marcus Silva

 o Captain - Chris Bunyi

 o Chorus Girls - Karli Blalock, Michelle Ditto, Shelby Monson, Joy Newbegin

 o Sailors - Dean Hendricks, Morgan Hollingsworth, Niko Montelibano, David Anthony Wright, Jr.

- Claire Trevor Theater, $11



November 2017

-Chess by Benny Andersson, Bjorn Ulvaeus and Tim Rice

-Directed by Robin Buck

-Music Direction by Daniel Gary Busby

-Irvine Barclay Theater, $25



February 2018

-Mrs. Packard by Emily Mann

-Directed by Melissa Livingston

-Claire Trevor Theater, $18



November 2019

-Company by Stephen Sondheim

-Directed by Eli Simon

-Musical Direction by Lex Leigh

-Choreographed by Allison Eversol

-Irvine Barclay Theater, $25



:

내가 대학생 시절,

참 외로움을 많이 타던 시절에..

이 가수의 노래를 즐겨들으며 우울함에 푸~욱 빠지곤 했다.


활동 시기는 2001년~2003년이던가..


첫번째 앨범 Obsession을 어떤 계기로 사게됬더라?

아... 어디에선가 "메신저 스토리" 라는 노랠 접하고 나서 

리즈님의 매력에 빠져들은거 같다.

"메신저스토리"는 한창 엠에센 메신저가 유행타던 그때 그시절 얘기다...

메신저 상에서 상대방남자를 짝사랑하던 주인공...

계속해서 채팅하면서... 그 남자가 자리에게 고백하거나... 자기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알아주지 않을까 기다렸지만..

그 남자는 끝내 알아채지못했고.. 여자에겐 이미 다른사람이 고백을 했다는....? 그래서 프로포즈를 받아들이기로 했다는 체념 푸념섞인.. 약간 ... 이상하다면 이상한? 내용이다. ㅋㅋㅋ

왜냠 여자는 이미 사귀고있는 사람있었는데~~ 메신저상에서 썸을 타려고 했던 남자가 있었다는거~!


- Messenger Story 중에서 - 

하루종일 네 이름만 화면에 보이길 기다렸죠..

인사말을 하고나면 서먹한 침묵만이..

흘러 서로 멋적어하던 날들

많이 그리울것같아요

항상 행복하게 지내기를 기도할게요

나 이제 결혼해요



암튼 리즈의 티피칼한 노래들은 리듬이나 노래 자체는 경쾌하지만 

가사는 읽어보면 엄청 처절하고 비참한 이별노래들이거나 아니면 이수영스러운 참하고 조용한 에픽 발라드.. 

게다가 다 여자가 채이거나 해서 더 뭔가 우울해지는 그런 노래들이란거??? ㅋㅋㅋ 

그게 아니면 이별땜에 분노하는 여자의 노래라던가.. 

ㅋㅋㅋ 암튼 그당시 내 취향엔 정말 그녀의 노래는 ..... there is none other!!!!


사실 지금 들어도 상당히 세련됬다라고 생각한다.  

글고 중독성.... 쩌는!

2집 As Leeds 에서는 좀 더 팝스럽게 가려고 했던것도 같다.

2집 마지막노래는 Norah Jones 의 노래를 커버하기도했고..


사실 리즈의 노래의 심장부에는...

지금은 좀 잊혀졌지만...  

상당히 실력파인 MGR 이라는 프로듀서가 있었다는거..


MGR 은 이수영을 제작하던 프로듀서로 제일 알려진거같다. 

검색해보니~ 한국 이름은 박용찬, MGR = Modernized Groove Revolution 이라고 하네..

뮤턴트1집멤버였다니~~ ㅎㅎ 옛날에 현대백화점에서 뮤턴트 1집 테이프를 만지작거렸던 기억이 머리를 스쳐지나가고~ 뮤턴트를 기억하는 이유는 내가 김태우 목소리를 좋아했기때문이지... 015B 의 "모든건 어제 그대로인데" 이건 정말 내가 백만번 무한반복하며 들었던 노래....


아무튼~ 엠쥐알씨는 이수영, 이승환, 이소은 등등 드림팩토리 사람들과 많이 작업한듯 하고...

비련의 여가수... 스러운 스타일을 정말 정말 잘 프로듀스 하는거 같다~ 존경합니다.

지금은 어떤 활동을 하시는지 모르지만... 내가 워낙 또 요새 케이팝을 안듣기때메..

엠쥐알과 리즈는.... Great great combo......... MGR thus exists Leeds 라고 할수있을듯!!


리즈의 노래를 거의 다 좋아하지만

특히나 즐겨들었던 노래는 

2집의 3번 트랙 "Come Over". 하고 "하루만 더".

커몬오버는 영어가사가 참 경쾌하고 남자랩퍼랑 너무 잘어울리는?

글고 하루만 더는 very typical 한 리즈의 거의 대표곡스러운 곡이랄까..

가슴애리는 이별노래.. ㅋㅋ

그러나 막 멜로디는 그렇게 구슬프지는 않은..

아마 이수영에게 갔을법한, 그런 엠쥐알의 곡인거같다.

가사는 누가썼더라... 너무 잘썼는데.. 

아! 너무나 유명한.. 양재선님의 작사구나. 

양재선님하면... 내가 좋아하는 성시경의 "희재" 또한 엠쥐알님과 같이 작업한 분.... 캬.. "희재".. 명곡이지.

양재선님.. 엠쥐알님... 크................. 합작은 정말.. there are none other!!! Probably one of the Best in Korea.

1집의 "그댄 행복에 살텐데"도 이분들 작품...


아. 그러고 보니 나 예전에 싸이월드에서 리즈언니 방명록에 글도 남긴거같고... 

대답을 해주었던가... 아마 그랬던거같은데... 지금이라도 이 글을 어디에선가 보고있다면,

언니.. 아줌마가 되어버린 한 여자가 아직까지도 추억하며 언니의 노래들을 appreciate 하고 있다고 생각해줘요. ㅋㅋ

글고 꾸준히 음악해주시와요! 여전히 리즈님의 음악을 기다린다구요~

참 나도 어릴때 소심한 팬질을 잘했었지...


에니웨이..짤막하게 검색해보면 리즈님은 캐나다 교포고... 성악 전공에.. 밴쿠버에 사셨다 했나? 아님 토론토였나.. 캘거린가...?  암튼 그 동네 교회에서도 한창 노래 잘하는 사람으로 날렸을것도 같다.  특송도 많이 했을거고..

교민사회에서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었을듯. 

네이버 검색해보니 작년인가 재작년에도 싱글을 내셨더군~

간간히 몇년에 한번씩 싱글을 내셨네... 3집도 내셨고.

내가 대학시절 이후로 케이팝을 잘안듣다보니.. 게다가 SNS 이런거에도 안계시니 소식업뎃이 늦었네.

암튼 가끔씩 우울함에 빠져들고 싶을때~~~

처절하게 슬픈 이별노래에 잠기고 싶을때~~

리즈의 노래를 강추한다. 


원래는 엠피삼 링크를 올려놓을라 했는딩...

알고보니 앨범을 갖고있어서 엠피삼으로 륍해놓지도 않은데다가..

flac 으로만 륍을 해놔서... 올리는게 불가... 

이거 올린다고 다음계정도 만들고했는데! 내가 산 곡들만 올려야하는.. 그냥 파일을 올릴수도 없고... 뭔가 속은느낌...

그래서 부득이 유툽링크로. ㅋㅋ


첫번째는 극히 드물었던 리즈님의 티비출연 라이브로 부르는 "그댄 행복에 살텐데" 와.. (지금 보기에는 약간 엥...할 수 있는 스타일이지만.. 글고 아무래도 트랙으로 듣는게 좋은듯?) 게다가 뮤직비디오는... 약간 스캐리... 그때도 약간 호러스러웠던 1집 앨범사진 분위기때문에 더 인기끌기 힘들었던.... 그러나 욕도 많이 먹었었지! ㅋㅋ any publicity is a good publicity? even a bad one..?

두번재는 2집앨범에서 내가 제일 좋아했던 "하루만 더".  이건 정말 노래방에서 불르고 싶다!!

세번째는 최근에 알게된 곡 "이 일을 어쩌면 좋을까요". 커몬오버를 연상케 하는 발랄한 곡.


오랜만에 주욱 들어봐야지.. 


**추가로... 뭐야.. 리즈언니 한국에서 "슈가맨"인가에 출연하셨자나!!! 이 포스팅 시작한건 2달전인데 겨우겨우 주저리주저리 회사에서 짬내서 쓰고보니... 언니 컴백하셨구나... 오늘저녁에 슈가맨 챙겨봐야겠당~~ 언니 화이팅임당~~~


















:

I am absolutely in love with this song right now.

한국 온누리's new worship album (2015 온누리 워십 라이브앨범) contains this song,

and I L.O.V.E. their arrangements to this song.

What a wonderful discovery!


짧지만 간결하고 반복적이면서도 착착 달라붙는듯한..

무한반복 부를 수 있는 그런 찬양이다.

권혁도라는 분이 작사작곡한 찬양인데,

온누리교회 밴드가 arrange 한 스타일이 참 맘에 든다.


키보드로 시작하는 전주부터.. (깔끔한 놀드 사운드~)

터져주는 풀밴드사운드까지.


"주 계신 곳에 부르시네 내 모든 아픔 씻어주사 
거룩한 부르심을 입어 억눌린 영혼 자유하네 

십자가 내 삶의 빛이 되며 그 빛이 내 삶의 이유 
사나 죽으나 주만 위해 내 삶을 다 드리리"



재밌는것은 

난 처음에 그냥 듣기만 하고 가사를 몰랐을땐

"십자가 내 삶의 빛이 되면" 이라고 생각했던것!

글서 아.. 적잖이 감동을 받았다.

십자가가 내 삶의 빛이 되면, 그 빛이 내 삶의 이유라는 고백이 나올지 않는가!  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실제 가사는 십자가 내 삶의 빛이 되며... 이다.

본 가사는 십자가가 내 삶의 빛이 되며 그 빛이 내 삶의 이유이다..라는 그런 심플한 문장?

If-> Then 의 문장이 아닌 It is -> and It is. 약간 이런느낌? ㅋㅋ 


여하튼.. 좋은 찬양이다.

언젠가 교회에서 회중가 다함께 무한반복으로 불러보고싶다.




'The Ordinar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st of UCI Dramas I've Attended  (0) 2016.02.05
그댄 행복에 살텐데 - 리즈 (Leeds)  (0) 2016.01.08
Lifesong - 아버지 품 안에서 난  (1) 2015.12.02
빼빼로데이~  (1) 2015.11.27
Bamboo - My Very First Pair of bucketfeet  (0) 2015.07.07
:
내가 주를 알기도 전에 
그 사랑은 나를 아셨네 
사는 동안 내 할 일은 
그 사랑 알아가는 것 

내 아버지 창조의 주님 
그 지혜는 완전하시네 
수많은 사람들 중에 
내 이름 부르셨네 

나 서두르지 않고 
많은 것 바라지 않고 
내게 주신 오늘을 살며 
이 순간을 예배하리 

내가 했던 일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시는 
내 아버지 품 안에서 난 
더 바랄 것 없네 

부르시는 음성을 따라 
부으시는 은혜를 따라 
사람들의 시선보다 
내 주님 원하신 대로 

내가 거기 있지 않아도 
내가 주인 되지 않아도 
내 몫을 감당한다면 
주님은 다 아시네 

내 눈이 높지 않고 
내 마음이 교만치 않고 
어린 아이 엄마의 품에 
잠든 그 모습처럼 

더 나은 내가 되기보다 
이대로 주님 따라가리 
내 주님과 함께 있는 한 
두려울 것 없네 

나 서두르지 않고 
많은 것 바라지 않고 
내게 주신 오늘을 살며 
이 순간을 예배하리 

내가 했던 일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시는 
내 아버지 품 안에서 난 
아버지 품 안에서 난 
아버지 품 안에서 난 
그의 모든 것


---------------------------------------

One of the most beautiful songs I know..
어떻게 이런 아름다운 가사를 쓸 수 있는지..
할렐루야. Praise the Lord.
Written by 박기범&이지음, sung by 안혜정 who truly sang it beautifully.
마음을... 그리고 감동을 늘 선사해주는..
그런 찬양..

예수님만을
더욱 사랑
날이 갈수록
더욱 사랑

This is the absolute core of our belief..
:

빼빼로데이~

2015. 11. 27. 07:54

뭔가 삼개월만에 폭풍업뎃같지만...

지난 빼빼로데이에 남편이 이른 아침 나가더니

출근하기 전에 돌아와서는..

나에게 이걸 안겨주고 가서 회사애들이랑 먹으라며...

Awwww my sweet Pocky

빼빼로데이는 우리가 처음 데이트 한 날이었그등~~

벌써 2년이네~~





그리고 나랑 점심먹겠다며

점심 싸와서 둘이서 먹었당 ㅋㅋㅋ

양념 수육하구 뜨끈한 보온병에 들은 오뎅국하고..

냠냠





남편은 너무 스윗한 사람이다.

연애하면 좋아요~

하지만 결혼하면 더~ 좋아요~




:


My very first pair of bucketfeet!

어제 놀스트롬 랙 샤핑갔다가 발견~

Aaron Firestein 이 디자인한 "Bamboo"라는 신발인데,

뭐랑 좀 맞춰입기 난감할수도 있지만, 내가 또 워낙 단색/무채색을 즐겨입으므로.. 잘 어울릴수 있을거같아서 샀당. 흰티에 청바지랑..이라던가..

게다가 클리어런스 세일이라서~ 쿙쿙쿙

웹사잇찾아보니 이쁜 디자인들 많더라... 캬캬

그러나 한동안은 요고 하나로 만족하며 살아야지... ㅎㅎ


http://www.bucketfeet.com/

:

예전에 2010년도 앨범 "God is With Us Now" 를 아마존에서 오불인가에 구입하고 나서.. 알게된 게잇웨이 워십.

힐송의 미국버젼이랄까? ㅋㅋ 음악성도 좋고~ 리더들도 잘하고..

무엇보다 노래.. 가사가 굉장히 성경적이고 좀 너무 감정유발성이 아닌듯하여서 참 좋았다.

뭔가 새로 gem 을 발견한거 같아서 자주 즐겨들었는데..

 

그중에 내가 제일 좋아한 분은.. 레베카 포트밀러!  그녀의 "Stay Amazed" 는 와우.

어뜨케 저렇게 부르지???? 할정도로.... 부러운 꿀성대와!! 파워풀한 리드...!!??

암튼 참 그당시 함께하던 밴드/회중들과 부르고 싶었던 곡이었지만 약간의 난이도로 인해.. 움하하 고사했었지.

 

아무튼 최근에 다시 서치를 해보다가 

그 전에 비젼예배때  ㅇㅇㅈ 목사님이 불렀던 "만복의 근원 하나님/New Doxology" 가 진짜 진짜 좋았었는데,

그 오리지날버젼이 게잇웨이가 했던거였다니~~~ ㅋㅋㅋ 미쳐 관심을 두지 않았던 사실들이. ㅋㅋ

 

에니후,

 

"Forever Yours" 라는 앨범은 2012년도에 나왔다.  이 때즘은 걍 한국찬양 많이 듣고 해서 그닥 관심없었던거같다.

트랙들 주욱 유툽에서 들어보다가... 이 앨범에 실려있는 "God and King" 을 들었는데..

 

와웅.

 

레베카 포트밀러! ㅋㅋㅋㅋㅋ

아 난 그녀의 파워보칼이 너무 좋다.

물론.. 크리스티 나클스도 좋지만 (약간 다른 취향의)

그녀의 그 서던 스윗한 그리고 어디서 이런 파워가 나오는지 모르겠는 꿀성대

 

글고 내가 진짜 좋아라하는 찬송가->모던하게 바꾼 찬송가~!

"온 천하 만물 우러러" 를 약간 모던하게 바꾼...

완전 꽃혀서 한 백만번 돌려 들었다.

 

퇴근해야되서 말은 이만 줄이고... 링크로!!

 

 

 

 

 

 

 

 

 

:
퇴근하고 집에오니 뙇!
남편님이 준비한 오므라이스~
케찹뿌리다 망쳤는데 약간 팩맨에 나오는 애들같았다 ㅎㅎㅎ

good times




:

원래는 MHIS #3 가 있는데...

쓰다 말아서... .이건... 정말 나중에 또 삘받을때 컴플릿 하기로 하고..

오늘 뭔가 검색하다가 갑자기 아가사 크리스티 추리소설 얘기에 관한 댓글을 읽게되고..

요 근래에 오리엔트 익스프레스 보드게임을 핸드메이드 하겠다고 설쳐대고 있으므로..

뭔가 기록을 위해 남긴다.

 

초등학교때부터 셜록홈즈를 좋아헀고, 루팡소설도 읽었고, 그리고 5학년때부터 제대로 아가사 크리스티에게 꽃혔던것 같다. 해문에서 나온 책들을 모으는 기쁨을 가졌던... 엄마가 헌책방에서 사다주기도 하고... 가끔 친척들이나 친구들이 선물 사줄땐 추리소설 사달라고도 했었지.  5학년때 단짝 친구들, 김정은, 이정은, 정희경 등등과 추리소설 클럽을 결성해서 한달에 한번씩 한권을 사서 돌려읽은.. 그런 기억도 난다. ㅎㅎ

 

다음은 내 소장목록 (넘버는 해문출판사 책 넘버). 읽은걸로 따지면 거의 다 읽었지만..

 

- 소장목록 -

 

1.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And Then There Were None, 1939)

3. 0시를 향하여 (Towards Zero, 1944)

4. 죽음과의 약속 (Appointment with Death, 1938)

6. ABC 살인사건 (The A.B.C. Murders, 1936)

10. 3막의 비극 (Three Act Tragedy, 1935)

11. 예고 살인 (Murder is Announced, 1950)

13. 커튼(Curtain:Hercule Poirot's Last Case, 1975)

15. 움직이는 손가락 (The Moving Finger, 1943)

18. 메소포타미아의 죽음 (Murder in Mesopotamia, 1936)

19. 애국살인 (One, Two, Buckle My Shoe/The Patriotic Murders, 1940)

20. 화요일 클럽의 살인 (The Thirteen Problems) - 단편집
21. 누명 (Ordeal by Innocence, 1958)
22. 13인의 만찬 (13 at Dinner, 1933 – Lord Edgeware Dies)
23. 회상속의 살인 (Five Little Pigs/Murder in Retrospect, 1942)

24. 위치우드 살인사건 (Murder Is Easy, 1939)

25. 삼나무 관 (Sad Cypress, 1940)

26. 구름속의 죽음 (Death in the Clouds, 1935)

27. 부머랭 살인사건 (Why Didn't They Ask Evans?, 1934)

28. 테이블 위의 카드 (Cards on the Table, 1936)

32. 갈색옷을 입은 사나이 (The Man in the Brown Suit, 1924)

34. 세번째 여자 (Third Girl, 1966)

36. 침니스의 비밀(The Secret of Chimneys, 1925)
38. 쥐덫 (Three Blind Mice and Other Stories, 1950)

41. 골프장 살인사건(Murder on the Links, 1923)

42. 세븐 다이얼즈 미스테리(The Seven Dials Mystery, 1929)

45. 벙어리 목격자 (Dumb Witness, 1937)

46. 포와로 수사집 (Poirot Investigates, 1924)

47. 서재의 시체 (The Body in the Library, 1942)

49. 마지막으로 죽음이 온다(Death Comes as the End, 1945)
50. 창백한 말(The Pale Horse, 1961)
52. 마술살인 (They Do It with Mirrors, 1952 – Murder with Mirrors)

55. 수수께끼의 할리 퀸 (The Harlequin Tea Set, 1997)

56. 맥긴티 부인의 죽음 (Mrs. McGinty's Dead, 1952)

57. 버트램 호텔에서 (At Bertram's Hotel, 1965)

58. 죽은 자의 어리석음 (Dead Man's Folly, 1956)

59. 비뚤어진 집 (Crooked House, 1949)

60. 죽은 자의 거울 (Murder in the Mews and Three Other Poirot Cases, 1937)

61. 잠자는 살인 (Sleeping Murder, 1976)

64. 헤이즐무어 살인사건(The Sittaford Mystery, 1931)

65. 파도를 타고 (Taken at the Flood/There is a Tide, 1948)

66. 바그다드의 비밀(They Came to Baghdad, 1951)

67. 리스터데일 미스터리 (The Listerdale Mystery/The Golden Ball and Other Stories, 1971)

69. 핼로윈 파티 (Hallowe'en Party, 1969)

72. 복수의 여신 (Nemesis, 1971)

74. 패배한 개 (The Under Dog, 1951)

75. 카리브 해의 비밀 (A Caribbean Mystery, 1964)

77. 죽음의 사냥개 (The House of Death and Other Stories, 1933)

- 이중 범죄 Double Sin
- 이중 단서 The Double Clue
- 말벌 둥지 Wasp's Nest

79. 헤라클레스의 모험 (The Labours of Hercules, 1947)

80. 운명의 문 (Postern of Fate, 1973)

 

- 해문 출판사 80권 목록 -

 

1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2 오리엔트 특급살인
3 0시를 향하여
4 죽음과의 약속
5 나일강의 죽음
6 ABC 살인사건
7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
8 애크로이드 살인사건
9 장례식을 마치고
10 3막의 비극
11 예고 살인
12 주머니속의 죽음
13 커튼
14 백주의 악마
15 움직이는 손가락
16 엔드하우스의 비극
17 푸른 열차의 죽음
18 메소포타미아의 죽음
19 애국살인
20 화요일 클럽의 살인
21 누명
22 13인의 만찬
23 회상속의 살인
24 위치우드 살인사건
25 삼나무 관
26 구름속의 죽음
27 부머랭 살인사건
28 테이블 위의 카드
29 비밀결사
30 끝없는 밤
31 목사관 살인사건
32 갈색옷을 입은 사나이
33 검찰측의 증인
34 세번째 여자
35 명탐정 파커 파인
36 침니스의 비밀
37 죽음을 향한 발자국
38 쥐덫
39 프랑크푸르트행 승객
40 N 또는 M
41 골프장 살인사건
42 세븐 다이얼스 미스터리
43 깨어진 거울
44 빅포
45 벙어리 목격자
46 포와로 수사집
47 서재의 시체
48 크리스마스 살인
49 마지막으로 죽음이 온다
50 창백한 말
51 할로 저택의 비극
52 마술살인
53 잊을 수 없는 죽음
54 부부탐정
55 수수께끼의 할리 퀸
56 맥긴티 부인의 죽음
57 버트램 호텔에서
58 죽은자의 어리석음
59 비뚤어진 집
60 죽은자의 거울
61 잠자는 살인
62 코끼리는 기억한다
63 패딩턴발 4시 50분
64 헤이즐무어 살인사건
65 파도를 타고
66 바그다드의 비밀
67 리스터데일 미스터리
68 엄지손가락의 아픔
69 핼로윈 파티
70 히코리 디코리 살인
71 4개의 시계
72 복수의 여신
73 크리스마스 푸딩의 모험
74 패배한 개
75 카리브해의 비밀
76 리가타 미스터리
77 죽음의 사냥개
78 비둘기 속의 고양이
79 헤라클레스의 모험
80 운명의 문

 

다음은 아가사 크리스티 소설을 주인공 별로 나누어놓은..

예전에 어디에서 퍼온거 같은데.. 하두 오래되서 출처를 모르겠당.. 으흐흐

제가 퍼왔는데 출처 못남겨서 죄송합니당~

 

- 주인공별 -

 

1. 포와로 등장 작품

스타일즈저택의 죽음(The Mysterious Affair at Styles, 1920)
애크로이드 살인사건(The Murder of Roger Ackroyd, 1926)
빅포(The Big Four, 1927)
푸른열차의 죽음(The Mystery of the Blue Train, 1928)
패배한 개(The Under Dog, 1929) - 단편집
엔드하우스의 비극(Peril at End House, 1932)
오리엔트특급 살인사건(Murder on the Orient Express, 1934)

구름속의 죽음(Death in the Clouds, 1935)

ABC살인사건(The ABC Murders, 1935)

테이블 위의 카드(Cards on the Table, 1936)

나일강의 죽음(Death on the Nile, 1937)

크리스마스 살인(Hercule Poirot's Christmas, 1938)
삼나무 관(Sad Cypress, 1940)
애국살인(One,Two,Buckle My Shoe, 1940 – The Patriotic Murders)
백주의 악마(Evil Under the Sun, 1941)
회상속의 살인(Five Little Pigs, 1943 – Murder in Retrospect)
할로저택의 비극(The Hollow, 1946 – Murder After Hours)
파도를 타고(Taken at the Flood, 1948 – There is a Tide)
장례식을 마치고(After the Funeral, 1953 – Funerals Are Fatal)
히코리 디코리 살인(Hickory,Dickory,Dock, 1955)
비둘기속의 고양이(Cat Among the Pigeons, 1959)
4개의 시계(The Clocks, 1963)
코끼리는 기억한다(Elephants Can Remember, 1972)

2. 미스 마플 등장 작품
목사관 살인사건
(The Murder at the Vicarage, 1930)
예고살인(A Murder Is Announced, 1950)
주머니속의 죽음(A Pocket Full of Rye, 1953)
패딩턴발 4 50(4:50 from Paddington, 1957 – What Mrs. McGillicuddy Saw!)
깨어진 거울(The Mirror Crack'd from Side to Side, 1962)
 

3. 토미와 터펜스 부부 등장작품

비밀결사(The Secret Adversary, 1922)
부부 탐정(Partners in Crime, 1929)
N 또는 M(N or M?, 1941)
엄지손가락의 아픔(By the Pricking of My Thumbs, 1968)

4. 베틀 총경 등장 작품
0시를 향하여(Towards Zero, 1944)

 

5. 파커 파인 등장 작품
명탐정 파커파인(Parker Pyne Investigates, 1934) 단편집

 

6. 할리 퀸 등장 작품
수수께끼의 할리퀸(The Mysterious Mr. Quin, 1930) 단편집

 

7. 그 외 - 사건 해결 인물 또는 주인공
잊을수 없는 죽음(Sparkling Cyanide, 1945 – Remembered Death)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Ten Little Niggers, 1939) - 허그레이브 판사 외 9

죽음을 향한 발자국(Destination Unknown, 1954 – So Many Steps to Death)끝없는 밤(Endless Night, 1967) - 마이클 로저스
프랑크푸르트행 승객(Passenger to Frankfurt: An Extravaganza, 1970) - 스태퍼드 나이 경

 

 

- 단편집 -

 

1. 리가타 미스테리(The Regatta Mystery and Other Stories, 1939)
포와로 등장 작품

- 클래펌 요리사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Clapham Cook
- 당신은 정원을 어떻게 가꾸시나요? How Does Your Garden Grow?
- 해상의 비극 Problem at Sea
- 노란 붓꽃 Yellow Iris
미스 마플 등장 작품
- 마플 양, 이야기하다 Miss Marple tells a story
파커 파인 등장 작품

- 리카타 미스터리 The Regatta Mystery
- 폴렌사 만의 사건 Problem at Pollensa Bay

 

3. 검찰측의 증인(Witness for the Prosecution and Other Stories, 1948)
포와로 등장 작품

- 두 번째 종소리 The Second Gong

 

4. 크리스마스 푸딩의 모험(The Adventure of the Christmas Pudding and a Selection of Entrees, 1960)
포와로 등장 작품
- 스페인 궤짝의 비밀 The Mystery of the Spanish Chest
- 크리스마스 푸딩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Christmas Pudding
- The Dream
미스 마플 등장 작품
- 그린쇼의 아방궁 Greenshaw's Folly

 

6. 리스터데일 미스테리(The Listerdale Mystery and Other Stories, 1934)

----------------------------------------------------------------------------------

 

이번주말엔 오리엔트 익스프레스 핸드메이드 카드라도 프린트해서 슬리브에 껴놓는 작업이라도 하고싶다궁....

 

 

 

 

:
◀ PREV | 1 | 2 | 3 | 4 | 5 | 6 | 7 | ··· | 9 | NEXT ▶

BLOG main image
by 관리자_SC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57)
The Ordinary Life (90)
The Extraordinary Games (76)
Dear Diary (90)
My Recent Games (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
Today : Yesterday :